Research Article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 February 2023. 45-58
https://doi.org/10.7235/HORT.20230005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실험재료

  •   K-IBA 처리 방법

  •   삽목 환경

  •   생육조사 및 통계처리

  • 결 과

  •   완전침지와 ‘Mars’ 삽목발근

  •   엽면살포와 ‘Mars’ 삽목발근

  •   완전침지와 ‘Early Nir’ 삽목발근

  •   엽면살포와 ‘Early Nir’ 삽목발근

  • 고 찰

  • 결 론

서 언

주요 절화 이외의 다양한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화훼류의 수입량은 증가하고 있으며(APQA, 2021), 농가에서는 다양한 화훼뿐 만 아니라 경영비 절감을 위해 겨울철 난방비가 적게 드는 품목을 생산하고 있다. 겨울철 난방비가 적게 드는 아열대성 작물들은 공영도매시장에서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남서부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량이 증대되고 있다(KAFFTC, 2021).

호주가 원산지인 왁스플라워는 도금양과의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12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개화하며 향기가 좋고 개화기간이 길어 겨울철 절화 또는 분화로 인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난방비가 적게 들어 농가의 신소득 작물로써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왁스플라워 절화는 주로 중국, 미국, 페루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2015년 88만 본에서 2018년 200만 본으로 급격히 증가한 이후 2020년 160만 본까지 감소 후 2021년 204만 본으로 다시 증가하였다(APQA, 2021). 국내 재배면적과 생산량에 대한 농림수산식품부 조사 통계는 없으나 충청남도와 경상남도 일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공영도매시장의 거래량은 2014년 6천속에서 2020년 20천속까지 증가하였다가 2021년에도 COVID-19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27천속으로 증가하였다(KAFFTC, 2021).

왁스플라워 절화재배에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한 삽목 발근묘를 사용하고 있으나 초기 활착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식재 4–5년 정도에 식물체가 고사하는 경우가 많아 재배면적 증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왁스플라워는 삽목 번식할 때 용기내에서 뿌리돌림이 발생하면 이후 생장과정에서 다른 뿌리와 얽힌 부위가 매듭처럼 굵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목을 조이게 되어 정식 후 1–3년 사이에 활력을 잃고 고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작은 밝혀진 것이 없다(Manning et al., 1996; Seaton, 2009). 따라서 뿌리돌림이 발생하지 않는 건전한 묘를 확보하는 것이 왁스플라워 재배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왁스플라워는 주로 삽목에 의해 번식하지만 ‘Purple Pride’와 같은 일부 품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원종과 품종들은 발근율이 매우 낮다(Lamont, 1985; Grant et al., 1992; Dawson and King, 1994; Lullfitz, 2001). 왁스플라워는 목질화가 진행된 부위에 페놀화합물(cinnamic acid)의 농도가 높아 삽목시 발근율이 매우 낮으나(Curir et al., 1993) 녹지 또는 반숙지를 이용하였을 때 발근율이 향상된다고 보고되었다(Dawson and King, 1994). 녹지를 이용하더라도 발근율이 매우 낮지만 삽수의 하단부를 IBA 1,000–4,000mg·L-1 용액에 침지하면 발근율이 향상된다고 하였다(Gordon, 1992; Curir et al., 1993; Dawson and King, 1994). Lullfitz(2001)는 왁스플라워 삽수 전체를 IBA 용액에 담그는 완전침지 처리시 발근율이 대조구나 하단부 침지 처리에 비해 향상시켰지만 50% 미만으로 IBA와의 접촉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고찰하였다. 한편 삽수 완전침지 처리는 작업의 편리성에 비해 처리용액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삽목 후 엽면에 살포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며 처리농도는 완전침지와 유사하게 사용하고 있지만(Blythe et al., 2007), 식물에 따라 적정농도가 달라지므로 증식하고자 하는 작물에 적합한 농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Kohler et al., 2022).

따라서 본 연구는 왁스플라워 반숙지를 이용하여 삽목할 때 K-IBA 완전침지와 엽면살포로 발근율을 향상시켜 건전한 묘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이스라엘 Nir Nursery(Kfar Hess)에서 육성된 왁스플라워 ‘Mars’와 ‘Early Nir’ 10cm 화분묘를 농업회사 법인(㈜나라원예, 과천시)을 통해 구매한 후 2017년 7월 전북 완주군 소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플라스틱 하우스 토양에 식재하였다. 2018년 3월, 7월에 강전정을 실시하여 신초를 유기하였으며, 신초 생장 후 약간 경화된 가지를 5월과 9–10월에 각각 채취하여 가지의 선단부를 10–15cm로 잘랐으며, 지나친 증산에 의한 건조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단 1/3의 잎은 제거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5월 실험에는 재료 확보가 비교적 양호하였던 ‘Mars’를 대상으로 K-IBA(potassium salt of indole-3-butyric acid, MB cell, Los Angeles, CA, USA) 완전침지와 엽면살포 시험을 PE 필름 밀폐시설에서 수행하였다. PE 필름 밀폐시설에서는 계절적 영향으로 점차 온도가 높아지면서 곰팡이 발생이 증가하였고 살균제에 의한 약해 등이 나타났으며, 특히 엽면살포 시험구는 고사율이 매우 높아 실험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Mars’를 대상으로 엽면살포 처리를 9월에 추가로 수행하였으며, 삽수확보가 비교적 수월했던 ‘Early Nir’를 이용하여 10월 초에 K-IBA 용액 엽면살포와 완전침지 처리를 진행하였다. 삽수는 5월, 9월, 10월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조제하여 살균제(10g·L-1 베노밀 수화제, 팜한농, 완주군)에 10분간 소독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K-IBA 처리 방법

K-IBA 처리는 5, 9, 10월 모두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완전침지는 삽수전체를 K-IBA 500, 1,000, 2,000, 4,000mg·L-1 용액에 30초, 1분, 2분, 4분간 침지처리 후 삽목하였다. 엽면살포는 동일한 농도의 K-IBA 용액을 삽목 후 1, 2, 4, 8회에 걸쳐 액이 엽면에서 흘러내릴 정도로 1주 간격으로 살포하였다. 왁스플라워 ‘Mars’는 완전침지 효과가 5월 실험에서 확인되어 이를 제외하고 엽면살포만 수행하였으며, ‘Early Nir’는 처리간 비교를 위해 완점침지와 엽면살포 처리를 모두 수행하였다. 9월, 10월 완전침지와 엽면살포 실험시에는 K-IBA 용액이 잎에 흡수될 수 있도록 포그시설을 30분간 중단한 후 재가동 하였다.

완전침지와 엽면살포의 보완성을 살펴보기 위해 ‘Early Nir’를 대상으로 10월에 K-IBA 2,000mg·L-1 에 2분간 완전침지 후 삽목한 묘에 K-IBA 500, 1,000mg·L-1 1, 2, 4회 엽면살포 조합처리를 수행하였다.

삽목 환경

5월 ‘Mars’ 삽목시에는 녹소토(세립, Japan green service, Japan)를 삽목용 배지로 사용하였으며, 9월과 10월에는 배지의 통기성을 더 높이기 위해 녹소토와 펄라이트(뉴펄샤인 3호, ㈜ 지에프씨, 홍성군)를 1:1로 혼합한 배지를 128공 트레이에 채워 삽목하였다. 5월 ‘Mars’ 삽목은 비닐하우스내에서 PE 필름으로 밀폐한 터널을 만들어 수행하였으며 50% 차광망을 설치하였다. 비닐하우스 내부온도는 25°C가 초과하면 강제환기를 수행하였으나 밀폐터널은 별도의 환기를 하지 않아 터널내 온도는 시험수행기간에 최저 20°C에서 최대 35°C까지 변동폭이 높게 나타났다. 밀폐에 따른 높은 상대습도와 고온축적에 의한 곰팡이 발생으로 고사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9월과 10월 실험은 포그시설을 활용하였다.

9월과 10월 실험은 포그시설이 설치된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으며, 상대습도는 75% 이상 유지되도록 하였고, 시설내 온도는 별도로 설치된 냉방기를 가동하여 25 ± 5°C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또한 지나친 햇빛에 의한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50% 차광망을 삽목상 위에 설치하였다.

생육조사 및 통계처리

삽목 후 100일차에 생존율, 발근율, 캘러스 형성율, 뿌리수, 뿌리길이, 묘소질, 뿌리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발근율, 캘러스 형성율은 전체 삽수 중 발근 또는 캘러스를 형성한 개체수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뿌리수는 길이가 1cm 이상인 것을 개수하였고, 뿌리길이는 가장 긴 뿌리를 측정하였다. 묘소질은 캘러스 형성과 발근수, 뿌리길이, 신초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5단계로 구분하여 가시적으로 3인의 평가를 평균하였으며, 숫자가 높아질 수록 뿌리수가 많으면서 뿌리길이가 길고 신초 생장이 왕성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은 반복당 32개씩 4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는 SAS(Enterprise Guide 7.1, 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여 ANOVA와 Duncan의 다중검정을 통해 유의수준 5%에서 각 처리간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 과

완전침지와 ‘Mars’ 삽목발근

5월 밀폐조건에서 수행한 ‘Mars’ 삽목시 엽면살포구는 곰팡이에 의해 고사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간에 경향성이 없어 실험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자료 미제시). 완전 침지 후 삽목시 K-IBA 4,000mg·L-1 30초, 4분처리시 생존율이 대조구에 비해 낮아진 것을 제외하면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아졌다(Fig. 1). K-IBA 2,000, 4,000mg·L-1 2분 완전침지시 발근율이 40%를 초과하였으나 4분간 침지처리시에는 생존율과 발근율이 모두 감소하였다. 캘러스 형성율은 처리농도와 시간에 영향을 받았고, 뿌리수는 처리시간, 뿌리길이는 처리농도, 묘소질은 처리농도와 처리시간에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3-041-01/N0130410105/images/HST_41_01_05_F1.jpg
Fig. 1.

Effects of IBA total immersion on the survival and rooting of Chamelaucium uncinatum ‘Mars’ semi-hardwood cuttings in May. Cuttings were inserted into media after total immersion for 30 seconds and for one, two, and four minutes. Vertical bars indicate the average ± standard error (n=4). zMean separation between bar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Table 1.

Effects of total immersion on the callusing and rooting parameters of Chamelaucium uncinatum ‘Mars’ semi-hardwood cuttings in May

Conc.
(mg·L-1)
Time Callusing
percentage
Number of
roots
Root length
(cm)
Root
qualityz
Root fresh weight
(g)
0 67 aby 1.3 ef 3.1 e 2.8 cd 0.04 b
500 30 sec. 65 b 1.3 ef 4.5 a-d 3.1 a-d 0.06 b
1 min. 67 ab 1.7 b-f 4.3 a-e 3.2 a-d 0.08 b
2 min. 92 a 1.7 b-f 4.9 ab 3.3 a-d 0.09 b
4 min. 81 ab 1.4 d-f 4.6 a-c 2.9 b-e 0.04 b
1,000 30 sec. 61 b 2.2 a-c 4.5 a-d 3.1 a-d 0.10 b
1 min. 61 b 1.6 c-f 4.4 a-d 3.5 ab 0.09 b
2 min. 77 ab 2.3 ab 3.7 c-e 3.8 a 0.10 b
4 min. 70 ab 1.2 f 3.9 b-e 3.0 a-d 0.04 b
2,000 30 sec. 68 ab 1.9 a-e 4.3 a-d 3.6 ab 0.32 a
1 min. 74 ab 1.4 d-f 5.2 a 3.4 a-c 0.10 b
2 min. 87 b 1.5 d-f 4.2 b-d 3.6 ab 0.09 b
4 min. 82 ab 2.1 a-d 4.7 a-c 3.8 a 0.08 b
4,000 30 sec. 63 b 1.9 a-e 4.3 a-d 3.4 a-c 0.10 b
1 min. 74 ab 1.7 b-f 4.3 a-d 3.3 a-d 0.08 b
2 min. 77 ab 2.4 a 4.0 b-e 3.8 a 0.08 b
4 min. 10 c 1.1 f 3.6 de 2.6 d 0.04 b
Source of variation
Conc. (C) **x ns *** ** ns
Time (T) *** ** ns * ns
C * T *** ** ns ns ns

z1(very poor), 2 (poor), 3 (normal), 4 (good), 5 (very good).

yMean separation betwee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xns, *, **, ***: non-significant, significant at p < 0.05, p < 0.01, or p < 0.001, respectively.

캘러스 형성은 K-IBA 완전침지 처리시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4,000mg·L-1 4분 침지시에는 생존율이 낮아짐에 따라 캘러스 및 발근율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뿌리수의 증가는 많지 않으나 뿌리길이와 묘소질도 전반적으로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Mars’는 K-IBA 용액 완전침지 처리로 발근율과 묘소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Fig. 2), 발근율과 묘소질 등을 기준으로 보면 ‘Mars’ 삽목 발근율 향상에는 K-IBA 2,000, 4,000mg·L-1 2분 처리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3-041-01/N0130410105/images/HST_41_01_05_F2.jpg
Fig. 2.

Rooted cuttings of Chamelaucium uncinatum ‘Mars’ affected by IBA total immersion at 100 days after treatments. Cuttings were inserted into media after total immersion for 30 seconds and for one, two, and four minutes.

엽면살포와 ‘Mars’ 삽목발근

9월 실험은 5월 실험에서 효과가 확인되었던 완전침지를 제외하고 삽목 후 엽면살포만을 실시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 500, 1,000mg·L-1 살포시 발근율이 향상되었으나 이후 농도와 살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과 대조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냈다(Fig. 3). K-IBA 500, 1,000mg·L-1 살포시 발근율이 50% 이상 높아졌으며, 500mg·L-1 8회 살포시 발근율이 가장 높았으나 1, 2, 4회 살포에 비해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1,000mg·L-1 이상의 농도에서는 처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과 발근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다만 500, 1,000mg·L-1 8회 엽면살포시에는 생존율이 2, 4회 살포구에 비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3-041-01/N0130410105/images/HST_41_01_05_F3.jpg
Fig. 3.

Effects of the IBA foliar spray on the survival and rooting of Chamelaucium uncinatum ‘Mars’ semi-hardwood cuttings in September. IBA was applied every week after cutting insertion for one, two, four, and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Vertical bars indicate the average ± standard error (n=4). zMean separation between bar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캘러스 형성율도 처리농도에 영향을 받아 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뿌리수는 K-IBA 엽면살포시에 모두 증가하였으며, 뿌리길이와 묘소질은 500mg·L-1 8회 살포시 가장 높았다(Table 2).

Table 2.

Effects of a foliar spray on the callusing and rooting parameters of Chamelaucium uncinatum ‘Mars’ semi-hardwood cuttings in September

Conc.
(mg· L-1)
Time Callusing
percentage
Number of
roots
Root length
(cm)
Root
qualityz
Root fresh weight
(g)
0 21 gy 0.9 c 7.2 a-c 2.3 b-d 0.11 a
500 1 64 a-d 2.9 bc 6.1 bc 2.2 b-d 0.06 a
2 59 a-e 5.5 a-c 9.5 ab 3.3 a-c 0.11 a
4 61 a-d 5.3 a-c 7.7 a-c 2.9 b-d 0.05 a
8 86 a 5.4 a-c 10.5 a 4.3 a 0.13 a
1,000 1 73 ab 7.8 ab 9.0 a-c 2.5 b-d 0.09 a
2 60 a-e 6.5 ab 6.5 bc 3.2 a-d 0.10 a
4 45 b-g 5.9 ab 6.7 bc 3.1 a-d 0.06 a
8 66 a-c 5.7 a-c 7.5 a-c 2.9 a-d 0.11 a
2,000 1 54 b-f 5.3 a-c 6.9 bc 2.7 b-d 0.12 a
2 41 c-g 5.9 ab 7.4 a-c 2.7 b-d 0.07 a
4 36 d-g 4.3 a-c 8.4 a-c 3.3 b-d 0.06 a
8 29 fg 4.7 a-c 6.7 bc 2.7 a-c 0.09 a
4,000 1 31 e-f 5.1 a-c 7.0 bc 2.5 b-d 0.08 a
2 27 fg 5.6 a-c 7.7 a-c 2.0 b-d 0.11 a
4 18 g 9.1 a 7.7 a-c 3.5 cd 0.07 a
8 18 g 4.2 a-c 5.6 c 1.9 d 0.04 a
Source of variation
Conc. (C) ***x * ns ns ns
Time (T) ns ns ns ns ns
C * T nd ns * * ns

z1 (very poor), 2 (poor), 3 (normal), 4 (good), 5 (very good).

yMean separation betwee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xns, *, **, ***: non-significant, significant at p < 0.05, p < 0.01, or p < 0.001, respectively.

발근율과 뿌리수 등을 기준으로 보면 ‘Mars’ 삽목 증식율 향상에는 엽면살포가 완전침지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험이 진행된 시기와 사용된 배지 및 환경조건이 달라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고온에 의한 피해가 적어지는 9월 삽목시 ‘Mars’는 K-IBA 500, 1,000mg·L-1 엽면살포로 발근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완전침지와 ‘Early Nir’ 삽목발근

‘Early Nir’는 K-IBA 완전침지와 엽면살포 실험을 10월초에 수행하였으며, 완전침지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존율과 발근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농도 및 침지시간이 증가하여도 역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4,000mg·L-1 2, 4분 처리에서 발근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졌다(Fig. 4). 캘러스 형성율은 농도와 처리시간의 영향을 모두 받아 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뿌리수와 뿌리길이는 처리간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묘소질은 2,000, 4,000mg·L-1 처리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3-041-01/N0130410105/images/HST_41_01_05_F4.jpg
Fig. 4.

Effects of IBA total immersion on the survival and rooting of Chamelaucium uncinatum ‘Early Nir’ semi-hardwood cuttings in October. Cuttings were inserted into media after total immersion for 30 seconds and for one, two, and four minutes. Vertical bars indicate the average ± standard error (n=4). zMean separation between bar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Table 3.

Effects of total immersion on the callusing and rooting parameters of Chamelaucium uncinatum ‘Early Nir’ semi-hardwood cuttings in October

Conc.
(mg·L-1)
Time Callusing
percentage
Number of
roots
Root length
(cm)
Root
qualityz
Root fresh weight
(g)
0 21.9 fy 1.7 ab 11.5 ab 1.8 b-d 0.09 e
500 30 sec. 32.0 ef 1.7 ab 10.6 ab 1.7 cd 0.12 de
1 min. 33.6 ef 1.2 b 10.4 b 1.4 d 0.10 de
2 min. 36.9 d-f 1.3 ab 11.6 ab 1.7 cd 0.12 de
4 min. 53.1 c-e 1.5 ab 10.4 b 1.8 b-d 0.16 b-e
1,000 30 sec. 35.2 d-f 1.6 ab 12.0 ab 1.7 cd 0.15 b-e
1 min. 31.3 ef 1.5 ab 12.1 ab 1.7 cd 0.11 de
2 min. 45.3 c-e 1.6 ab 11.3 ab 1.9 a-d 0.12 de
4 min. 55.6 b-d 1.3 ab 12.4 ab 2.8 ab 0.23 ab
2,000 30 sec. 56.3 b-d 1.7 ab 11.5 ab 1.6 cd 0.13 c-e
1 min. 46.9 c-e 1.8 ab 13.4 ab 2.5 a-c 0.16 b-e
2 min. 63.3 a-c 1.9 ab 12.8 ab 2.1 a-d 0.15 b-e
4 min. 62.5 a-c 1.3 ab 12.0 ab 2.4 a-c 0.22 a-c
4,000 30 sec. 60.9 a-c 1.7 ab 12.2 ab 2.1 a-d 0.19 a-e
1 min. 62.5 a-c 1.9 ab 12.7 ab 2.9 a 0.20 a-d
2 min. 80.2 a 2.0 a 11.9 ab 2.5 a-c 0.20 a-d
4 min. 76.6 ab 1.9 ab 13.3 a 2.9 a 0.27 a
Source of variation
Conc. (C) ***x * * ** ***
Time (T) *** ns ns * **
C * T ns ns ns ns ns

z1 (very poor), 2 (poor), 3 (normal), 4 (good), 5 (very good).

yMean separation betwee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xns, *, **, ***: non-significant, significant at p < 0.05, p < 0.01, or p < 0.001, respectively.

엽면살포와 ‘Early Nir’ 삽목발근

K-IBA 엽면살포도 ‘Early Nir’의 생존율과 발근율을 대조구에 비해 향상시켰으나 발근율은 40% 미만으로 낮은 편이었고, 발근율은 처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생존율은 500mg·L-1에서는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상승하였으나 발근율은 반대로 감소하였고 1,000, 2,000mg·L-1 4회 엽면살포시 생존율이 다른 처리횟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Fig. 5). 캘러스 형성율은 처리농도와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뿌리수와 뿌리길이는 처리간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묘소질은 2,000, 4,000mg·L-1 처리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침지 처리와 유사하였다(Table 4). 생존율과 발근율을 기준으로 보면 ‘Early Nir’ 10월 초 삽목시 증식율 향상에는 완전침지가 엽면살포에 비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3-041-01/N0130410105/images/HST_41_01_05_F5.jpg
Fig. 5.

Effects of the IBA foliar spray on the survival and rooting of Chamelaucium uncinatum ‘Early Nir’ semi-hardwood cuttings in October. IBA was applied every week after cutting insertion for one, two, four, and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Vertical bars indicate the average ± standard error (n=4). zMean separation between bar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Table 4.

Effects of foliar spray on the callusing and rooting parameters of Chamelaucium uncinatum ‘Early Nir’ semi-hardwood cuttings in October

Conc.
(mg· L-1)
Time Callusing
percentage
Number of
roots
Root length
(cm)
Root
qualityz
Root fresh weight
(g)
0 21.9 fy 1.7 ab 11.5 ab 1.8 b-d 0.09 e
500 1 32.0 ef 1.7 ab 10.6 ab 1.7 cd 0.12 de
2 33.6 ef 1.2 b 10.4 b 1.4 d 0.10 de
4 36.9 d-f 1.3 ab 11.6 ab 1.7 cd 0.12 de
8 53.1 c-e 1.5 ab 10.4 b 1.8 b-d 0.16 b-e
1,000 1 35.2 d-f 1.6 ab 12.0 ab 1.7 cd 0.15 b-e
2 31.3 ef 1.5 ab 12.1 ab 1.7 cd 0.11 de
4 45.3 c-e 1.6 ab 11.3 ab 1.9 a-d 0.12 de
8 55.6 b-d 1.3 ab 12.4 ab 2.8 ab 0.23 ab
2,000 1 56.3 b-d 1.7 ab 11.5 ab 1.6 cd 0.13 c-e
2 46.9 c-e 1.8 ab 13.4 ab 2.5 a-c 0.16 b-e
4 63.3 a-c 1.9 ab 12.8 ab 2.1 a-d 0.15 b-e
8 62.5 a-c 1.3 ab 12.0 ab 2.4 a-c 0.22 a-c
4,000 1 60.9 a-c 1.7 ab 12.2 ab 2.1 a-d 0.19 a-e
2 62.5 a-c 1.9 ab 12.7 ab 2.9 a 0.20 a-d
4 80.2 a 2.0 a 11.9 ab 2.5 a-c 0.20 a-d
8 76.6 ab 1.9 ab 13.3 a 2.9 a 0.27 a
Source of variation
Conc. (C) ***x * * ** ***
Time (T) *** ns ns * **
C * T ns ns ns ns ns

z1 (very poor), 2 (poor), 3 (normal), 4 (good), 5 (very good).

yMean separation betwee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xns, *, **, ***: non-significant, significant at p < 0.05, p < 0.01, or p < 0.001, respectively.

완전침지와 엽면살포의 보완성을 확인하기 위한 K-IBA 2,000mg·L-1 완전침지와 K-IBA 500, 1,000mg·L-1 엽면살포 조합처리시 생존율과 발근율 모두 높아졌으며(Fig. 6), 발근율은 K-IBA 4,000mg·L-1 완전침지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처리의 편리성을 고려하였을 때 ‘Early Nir’의 10월 삽목시 발근율 향상에는 K-IBA 4,000mg·L-1 2, 4분 완전침지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3-041-01/N0130410105/images/HST_41_01_05_F6.jpg
Fig. 6.

Effects of K-IBA total immersion and the foliar spray combination on the survival and rooting of Chamelaucium uncinatum ‘Early Nir’ semi-hardwood cuttings in October. Semi-hardwood cuttings were immersed in the K-IBA 2,000 mg·L-1 solution for two minutes before insertion. The K-IBA foliar spray was applied every week after cutting insertion for one, two, and four week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Vertical bars indicate the average ± standard error (n=4). zMean separation between bar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5% level.

고 찰

왁스플라워는 대부분의 원종과 품종들은 발근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녹지 또는 반숙지를 이용하면서 IBA 1,000–4,000mg·L-1 용액에 하단부를 침지하면 무처리에 비해 발근율이높아지지만(Gordon, 1992; Curir et al., 1993), 40% 미만으로 보고되었다(Grant et al., 1992; Jung et al., 2018). 반면 Dawson and King(1994)은 IBA 4,000mg·L-1 용액에 40초간 침지처리시 왁스플라워 발근율이 90%까지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실험에 사용된 종이 비교적 발근율이 높은 계통을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Chadwick and Kiplinger(1938)은 국화를 삽목시 IAA를 엽면살포하면 발근율이 향상된다고 밝혔으며, Van Bragt et al.(1976)은 매자나무와 피라칸사의 삽수를 K-IBA 용액에 완전침지하면 발근율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이후 다양한 식물에서 발근촉진제의 처리농도와 처리시간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엽면시용의 효과가 입증되었다(Blythe et al., 2003, 2007, Jung et al., 2020). Lullfitz(2001)는 왁스플라워 겹꽃 품종을 완전침지 하였을 때 발근율이 향상되었지만 50% 미만이라고 보고하여 본 실험에서 ‘Mars’의 완전침지시 효과와 유사하였으나 ‘Early Nir’는 완전침지시 발근율이 매우 향상되어 품종과 삽목 환경에 따라 반응양상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IBA 엽면시용에 따른 발근율 향상은 잎의 기공으로 흡수된 IBA가 잎에서 생성되는 IAA와 함께 이동하면서 삽수 절단부에서 옥신류의 함량을 증가시켜 부정근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Blythe et al., 2007; Kroin, 2015). 다만 옥신류 엽면살포시는 잎의 광산화를 억제하고(Su et al., 2020), 프롤린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활성산소의 농도를 감소시켰다는 보고(Mir et al., 2020) 등을 고려하면 삽목시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켜 생존율과 발근율을 향상시켰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정확한 기작에 관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실험에서도 K-IBA 엽면시용에 따른 발근율 향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품종에 따라 완전침지와 엽면살포에 따른 차이점이 발생하는 원인과 기작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 론

왁스플라워 ‘Mars’는 5월 삽목시 삽수전체를 K-IBA 2,000, 4,000mg·L-1 2분 완전침지 처리하면 발근율이 40% 이상 높아졌으며, 묘소질도 향상되었다. 9월 삽목에서는 K-IBA 500, 1,000mg·L-1 용액을 엽면살포하면 발근율이 50% 이상 높아졌으며, 묘소질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arly Nir’는 10월 삽목시 K-IBA 완전침지로 생존율과 발근율이 향상되었으며 농도 및 침지시간 증가에도 역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4,000mg·L-1 2, 4분 침지시 발근율이 50% 이상 높아졌으며, 묘소질은 2,000, 4,000mg·L-1 처리시 향상되었다. K-IBA 엽면살포도 생존율과 발근율을 모두 향상시켰으나 발근율은 40% 미만으로 완전침지에 비해 낮은 편이었고, 처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생존율, 발근율, 묘소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Mars’는 9월 삽목 시 K-IBA 500, 1,000mg·L-1 용액을 엽면살포하고, ‘Early Nir’는 10월 삽목시 삽수를 4,000mg·L-1 용액에 2, 4분간 완전침지하는 것이 삽목 증식효율을 각각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관고유사업(PJ01262104)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nimal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2021) Plant quarantine statistics. https:\\pqis.go.kr. Accessed 31 December 2021
2
Blythe EK, Sibley JL, Tilt KM, Ruter JM (2003) Foliar application of auxin for rooting stem cuttings of selected ornamental plants. J Environ Hort 21:131-136. doi:10.24266/0738-2898-21.3.131 10.24266/0738-2898-21.3.131
3
Blythe EK, Sibley JL, Tilt KM, Ruter JM (2007) Methods of auxin application in cutting propagation: A review of 70 years of scientific discovery and commercial practice. J Environ Hort 25:166-185. doi:10.24266/0738-2898-25.3.166 10.24266/0738-2898-25.3.166
4
Chadwick LC, Kiplinger DC (1938) The effect of synthetic growth substances on the rooting and subsequent growth of ornamental plants. Proc Amer Soc Hort Sci 36:809-816
5
Curir P, Sulis S, Mariani F, van Sumere CF, Marchesini A, Dolci M (1993) Influence of endogenous phenols on rootability of Chamelaucium uncinatum Schauer stem cuttings. Sci Hort 55:303-314. doi:10.1016/0304-4238(93)90041-N 10.1016/0304-4238(93)90041-N
6
Dawson IA, King RW (1994) Propagation of some woody Australian plants from cuttings. Aust J Exp Agri 34:1225-1231. doi:10.1071/EA9941225 10.1071/EA9941225
7
Gordon I (1992) Cutting propagation of Chamelaucium cultivars. Comb Proc Intl Plant Prop Soc 42:196-99
8
Grant WJR, Fan HM, Downton WJS, Loveys BR (1992) Effects of CO2 enrichment on the physiology and propagation of two Australian ornamental plants, Chamelaucium uncinatum (Schauer) x Chamelaucium floriferum (MS) and Correa schlechtendalii (Behr.). Sci Hort 52:337-342. doi:10.1016/0304-4238(92)90034-A 10.1016/0304-4238(92)90034-A
9
Jung HH, Kim SJ, Yang KR, Yoo BS (2020) Effect of antitranspirants and plant growth retardants on the rooting of Rosa hybrida 'M-Red' cuttings. Flower Res J 28:163-169. doi:10.11623/frj.2020.28.3.08 10.11623/frj.2020.28.3.08
10
Jung HH, Yoo BS, Park KY, Kwon OH (2018) Effect of media and IBA treatments on rooting of Chamelaucium uncinatum semi-hardwood cuttings. Flower Res J 26:22 (Abstracts)
11
Kohler AE, DuRussel N, Lopez RG (2022) A foliar spray application of indole-2-butyric acid promotes rooting of herbaceous annual cuttings similarly better than a basal dip. Sci Hort 304:1-7. doi:10.1016/j.scienta.2022.111298 10.1016/j.scienta.2022.111298
12
Korea Agro-Fisheries Food Trade Corporation (KAFFTC) (2021) https:\\flower.at.or.kr\item\itemmonthly.do. Accessed 31 December 2021
13
Kroin J (2015) Propagation plants from cuttings using foliar applied aqueous (water-based) IBA rooting solutions: tips do's and don'ts C. ActaHort 1085:149-159. doi:10.17660/ActaHortic.2015.1085.25 10.17660/ActaHortic.2015.1085.25
14
Lamont GP (1985) Australian wax flowers. Aust Hort 83:769
15
Lullfitz GA (2001) Double pink waxflower - propagation and development.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Kingston, Australia
16
Manning LE, Considine JA, Growns DJ (1996) Chamelaucium uncinatum (Waxflowers), Family Myrtaceae. In native Australian plants horticulture and uses. (eds. K Johnson and M Burchett) UNSW PRESS. pp124-151
17
Mir AR, Siddiqui H, Alam P, Hayat S (2020) Foliar spray of auxin/IAA modulates photosynthesis, elemental composition, ROS localization and antioxidant machinery to promote growth of Brassica juncea. Physiol Mol Biol Plants 26:2503-2520. doi:10.1007/s12298-020-00914-y 10.1007/s12298-020-00914-y33424161PMC7772134
18
Seaton K (2009) Maximising root quality of waxflower tube stock suitable for field planting.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Kingston, Australia
19
Su L, Lv A, Wen W, Zhou P, An Y (2020) Auxin is involved in magnesium-mediated photoprotection in photosystems of alfalfa seedlings under aluminum stress. Frontiers in Plant Sci 11:1-17. doi:10.3389/fpls.2020.00746 10.3389/fpls.2020.0074632582264PMC7286060
20
Van Bragt J, Van Gelder J, Pierik RLM (1976) Rooting of shoot cuttings of ornamental shrubs after immersion in auxin-containing solutions. Sci Hort 4:91-94. doi:10.1016/0304-4238(76)90070-4 10.1016/0304-4238(76)90070-4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